반응형
차아로 보는 관상
치아는 견고하면서도 촘촘 하면 장수할 상으로 보고 ,치아가 길게 생기면 의식에 걱정이 없고 일하는만큼 댓가를 얻을 수 있는 상이라고 합니다 .
반면에 이 사이가 전부 벌어져서 드물게 생긴 경우 어리석고 거짓말을 잘 하며 끈기가 부족해
일의 끝을 맺지 못해 금전적인 문제와 배우자운이 좋지 않은 상으로 판단합니다 .
이가 소처럼 끝이 평평한 모양을 가진 경우 영화로운 일이 생기는 상이라고 하며 당대에는 영화를 누릴 수 있는 상으로 판단합니다 .
이가 하얗고 윤기가 있어 반짝이면 정계에서도 이름을 떨치고 부귀해질 상으로 판단하며 늙어서 치아가 다시 나면 장수할 상이라고 봅니다 .
옆으로 덧니가 나 있으면 마음이 약해 남의 호감을 살 수 있고 ,
앞니 중에 뾰족한 이가 한 개 있으면 불효하고, 결혼의 풍파가 있고 남을 잘 속이는 성품이라고 판단하며 앞니 중에 뾰족한이가 두 개 있으면 친척과 사이가 좋지 않다고 합니다 .
앞니 위쪽 두 개가 병풍처럼 세워져 있어 접촉된 부분이 들어가 있으면 남을 잘 돌봐주고 운세가 강해 난관을 헤쳐 나가는 상이나 부부운은 박하다고도 합니다.
위쪽 앞니 두개 사이가 벌어져 있으면 부부사이가 벌어진 것과 같아 부부가 이별하고 끈기도 부족한 상으로 판단합니다 .
이가 가늘고 작고 드물게 생기면 가난하고 요절하며 노력해도 결과가 없고 ,
이가 얽히고 겹쳐서 치열이 좋지 않으면 간교하고 방자 하며 부모와 인연이 나빠진다고 합니다 .
이가 쥐 이빨처럼 촘촘한 모양은 가난하고 요절할 상이요 ,
이가 불규칙하고 작고 촘촘함 경우도 단명할 상으로 판단합니다 .
치아가 개처럼 끝이 뾰족한 모양은 독한 상으로 판단하고 치아가 불에 그슬린 것처럼 검게 메마르면 횡사할 상으로 판단합니다 .
이가 뻐드러진 경우 비밀을 지키지 못해 신용이 없고 수완도 있지만 말 수가 많은 상, 타인의 실각을 겨냥해 음모를 꾸미기도 할 상으로 판단합니다 .
이가 안으로 옥아 있는 옥니박이는 복수심이 강하고 집요한 성격이며,
옥니 박이면서 위아래 이가 길면 손이 번 창 한다고 합니다 .
웃을 때 위쪽에 잇몸이 보이면 결단력이 부족하고 무모한 행동을 잘 하고, 여성은 남성의 꼬임에 약한 상으로 판단하며 아래쪽 잇몸이 보이면 마음이 차가운 상으로 판단합니다 .
대문이가 빠지거나 의치로 바꾸면 정력적으로 세 약해질 상으로 판단하고 ,문치가 크고 두꺼우면 노동력도 강하며 정력도 좋다고 합니다 .
끝이 뾰족한 문치의 경우 조폭이나 과격한 성격의 소유자로 육친과 분쟁이 있고 반항적이며 호쟁호투하는 성품으로 판단됩니다.
다른 이에 비해 문치 ( 문치 門齒
‘앞니’를 달리 이르는 말)가 높고 길면 가난할 상으로 식욕이 강하고 음주량이 많으며 저속해서 미움을 받을 수 있는 상으로 판단하고
이가 많이 흩어져있는 난항치의 경우 사고수를 조심해야 하고 육친 인연이 희박할 수 있으며 성격은 외골수요 ,비굴하고 부정적이며 이기적
난항치면서 거무스름한 경우 음란 할 수 있고 낭비벽이 있으며 여자는 재혼을 반복할 가능성 있다고 판단합니다 .
반응형
'관상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상학 6. 볼과 목의 관상학 (0) | 2019.02.02 |
---|---|
관상학 5. 턱으로 보는 관상 (0) | 2019.01.18 |
관상학 4. 입으로 보는 관상 (0) | 2019.01.03 |
관상학 3. 법령(팔자주름)으로 보는 관상 (0) | 2018.12.14 |
관상학1. 인중人中'을 통해 알 수 있는 운명 (0) | 2018.1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