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블로그 이미지
走在梦境之中

태그목록

공지사항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최근에 받은 트랙백

글 보관함

calendar
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
二百五 (얼바이우) 가 왜 "바보"?

2022. 6. 27. 15:32 | Posted by 走在梦境之中
반응형
반응형




二百五는  네이버중국어사전에 찾아보면 아래와 같은 뜻으로 나옵니다.

二百五[ èrbǎiwǔ ]  

1.천치

2.얼치기

3.쓸모없는






명사 [구어] 
천치. 멍청이. 바보. 멍텅구리. [은 5백냥을 1봉(封)이라 하므로 2백5십냥 (二百五)은 반봉(半封)이 되는데 이것이 ‘半疯’과 음이 비슷하여 생긴 속어


그렇다면  250 二百五  얼바이우
[ èrbǎiwǔ ]는
왜   ????
二百五十èrbǎiwǔshí  바이우스가 아닌 二百五얼바이우
[ èrbǎiwǔ ]로 읽으며 ,
그 뜻은 또 왜 "바보"라고 통하는 것일까 이제부터 알아봅니다~~~



250 을 二百五
[ èrbǎiwǔ]얼바이우로 읽는 이유


구어체에서는 숫자일5을때
마지막 자릿수를 생략해 말하며 10자리 0은 반드시 零 이라고 읽어야 하고,
4자리 이상인 수에서 중간에 2개 이상 중첩된 0은 한 번 만 읽습니다 .


예)
一百零五yī bǎi líng wǔ ---105
一百五十yī bǎi wǔ (shí생략 )---150
两千零四liǎng qiān líng sì ---2,004
五万零一wǔ wàn líng yī ---50,001


250 얼바이우가 바보라 불리게 된 유래


百度 검색에 의하면~~


 250意思是指傻头傻脑,不很懂事而又倔强莽撞的人。用法:作主语、宾语、定语;在各地的口语中都有出现。需要特别强调的是二百五用于口语调侃,但绝非粗口或者骂人的话。
战国时期,有个纵横家叫苏秦,他说服齐、楚、燕、赵、魏、韩六国,结成联盟,共同对付强大的秦国,因而受到大王赏识,封为丞相,史称“六国封相”。正当苏秦为齐国积极效力的时候,来了刺客,当天不治身亡。
齐王大怒,下令捉拿凶手,可人海茫茫,哪里去找?齐王想了一招“引蛇出洞”的妙计,命人将苏秦的头割下来,然后弄得满头满脸的血,再将血淋淋的人头挂在城门口,张贴黄榜,告知大家苏秦是个内奸,齐王一直想杀他,如今被义士所除,大快人心,奖励黄金千两,请义士前来领赏。
告示一出,很快就有四人前来领赏,一口咬定苏秦是自己所杀,齐王问他们千两黄金四个人怎么分,四人高兴的说,四人平分,即1000÷4=250,每人二百五。
齐王一听,拍案大怒:“把这四个二百五推出去斩了”。从此,民间留下二百五的说法,被用来形容傻瓜、笨蛋和 被财色所迷惑的人


250의 뜻은 바보를 의미하는데,
뭘 잘 모르고 고집 세고 우악스러운 사람을 일컫는 말로 용법은 주어 빈어 정어  등으로 각지의 구어에서 자주 나오는 말이다.

특별히 강조해야할 부분은 이 말은 사람을 조롱하는데 사용하는 말로, 욕하는 것은 아니다.

전국시대에 소진이라는 책략가가 있었는데,그는 제, 초, 연, 조, 위, 한 여섯 나라를 설득하여 연맹을 결성하고, 강한 진나라에 함께 맞서게 하여  제왕의 신임을 얻어 승상에 봉해져 일명 6국 승상이라고 불리었다.

소진이 제국을 위해 힘쓰고 있을 때 자객이 들어 그날 사망하고 말았다.
제왕은 크게 노해 흉수를 잡도록 명 했다 .
그러나 많은 사람들 무리 속에 어디 가서 흉수를 찾는단 말인가?
제왕은  범인을 유인해 스스로 자백할 수 있는 묘책을 생각해 , 소진의 목을 베어오게 한 후 온 머리와 얼굴에  피로 더렵혀 피로 물든  사람 얼굴을 성문 입구에 매달게 하고 황방조서 걸게 했다 .

"여러분에게 알리 알리노니,
소진은 내부 첩자로 제왕은 줄곧  그를  죽이려 했는데,
지금에 와서 의사에 의해 제거되어 속이 후련하다.
황금 일천냥을 표창 하리니 의사는 부디 앞으로 나와 상을 받으라."
공고를 하자 곧  네사람이   상을 받으러 나왔다 .
그들 모두  자신이 소진을 죽였다라고 했다 .
제왕은 그들에게  황금 천냥을 네사람이 어떻게 나누면 좋겠느냐 하니 네사람은 기뻐서 말하기를 네사람이 똑같이 나누길, 즉  1,000 나누기 4는 250이니 각 사람 모두에게 250을 달라 했다.
제왕은 크게 노해 "저 250 넷을 쫓아내 참수하라" 라고 했다.
이로부터 민간에서는 250은  바보 멍청이 재색에 현혹된자 등을 형용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.

반응형